서울 강서구 등촌동 홈플러스 본사 전경. 한경DB
서울 강서구 등촌동 홈플러스 본사 전경. 한경DB
홈플러스가 점포를 임대한 리츠·펀드 운용사에 임대료를 최대 50%를 깎아달라고 요구했다. 지난달 3일 기업 회생신청 이후 홈플러스가 관련 운용사에 임대료 인하를 요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.

7일 투자은행(IB)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최근 홈플러스 매장을 보유한 각 임대인에게 임대료 감액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.

ADVERTISEMENT

홈플러스는 공모 부동산 펀드와 공모 리츠를 상대로는 35%, 사모 부동산 펀드와 사모 리츠에게는 50% 감액을 요청한 것으로 파악됐다. 공모 상품에는 개인 투자자 비중이 높은 만큼 사회적 파장을 우려해 공모와 사모로 나눠 임대료 감액 요청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. 홈플러스가 요구한 임대료 감액 요청에 대한 협상 기한은 다음달 15일까지다.

홈플러스 점포를 기초자산으로 한 공모펀드는 이지스자산운용의 이지스코어리테일부동산투자신탁126호와 유경PSG자산운용의 유경공모부동산투자신탁제3호 등이다. 이지스운용은 사모펀드 2개도 운용하고 있다.

공모 리츠는 신한리츠운용의 상장 리츠인 신한서부티엔디리츠를 비롯해 비상장 리츠인 제이알제24호기업구조조정부동산투자회사, 케이비사당리테일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, 케이비평촌리테일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, 대한제2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 등이 있다.

ADVERTISEMENT

이들 펀드 및 리츠는 홈플러스의 임대료 감액 요청에 대해 감액 요청폭이 예상보다 크다는 반응이다. 홈플러스가 낸 임대료로 차입금 이자를 납부해왔는데, 홈플러스 측 요구를 받아들일 경우 당장 이자 납부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.

아울러 펀드·리츠 별로 처한 상황이 다른 만큼 일률적인 감액 요청을 수용하기도 어렵다는 입장이다. 한 리츠 운용사 관계자는 "일률적으로 임대료 인하를 요구할 경우 개별 협상과 비교해 인하폭이 더 커질 수 있다"며 "홈플러스측이 이같은 문제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"고 말했다.

홈플러스는 지난달 3일 기업회생 신청 이후 임대료 지급을 미루고 있다.

민경진 기자 min@hankyung.com